ISSB,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채택 위한 ‘로드맵 툴’ 공개 > ESG동향

화성상공회의소 ESG

ESG Insight
ESG Insight ESG동향

ESG동향

화성상공회의소 ESG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ISSB,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채택 위한 ‘로드맵 툴’ 공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6회 작성일 25-04-07 12:54

본문

- S1과 S2 공개 후 2년만...채택 관할권 확대 기대
- 협력기관 및 이해관계자 활용도 확대...국제적 기준 정립되나

IFRS 재단(IFRS Foundation)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관할권(각 국가나 규제기관, 금융기관 등 시장참여자)이 자국 내에서 ISSB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채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로드맵 개발 툴’을 출시했다고 ESG투데이가 27일(현지시각) 밝혔다.

런던에서 열린 IFRS 재단의 첫 번째 ‘이행 파트너 워크숍(Implementation Partners Workshop)’에서 공개된 이 로드맵 툴은 각국 정부 및 이행 파트너들에게 규제 채택 과정의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S1과 S2 공개 후 2년만...채택 관할권 확대 기대

ISSB는 2021년 COP26 기후회의에서 공식 출범했으며, 투자자에게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기회와 리스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후 2023년 6월, 일반 지속가능성 기준(IFRS S1)과 기후 공시 기준(IFRS S2)을 발표한 바 있으며, 현재까지 35개 이상의 관할권이 이 기준의 도입을 위한 절차를 시작한 상태다.

이번에 출시한 로드맵 툴은 23년에 공시 기준과 함께 발표한 초기 관할권 가이드(Inaugural Jurisdictional Guide)를 한 차례 더 발전시킨 실행도구로서, S1과 S2 공시 기준을 더욱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게 편의를 높이는 매뉴얼이다. 해당 도구는 각국이 S1과 S2 기준을 자국 회계 시스템에 어떻게 연계할지, 적용 대상을 어느 범위까지 지정할지를 판단하는 실무적 기준점을 제공한다.

ISSB 의장 엠마누엘 파베르(Emmanuel Faber)는 “자본시장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지원하겠다는 ISSB의 목표에 따라, 우리는 각국이 채택 로드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 S1과 S2 공개 후 2년만...채택 관할권 확대 기대
- 협력기관 및 이해관계자 활용도 확대...국제적 기준 정립되나

IFRS 재단(IFRS Foundation)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관할권(각 국가나 규제기관, 금융기관 등 시장참여자)이 자국 내에서 ISSB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채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로드맵 개발 툴’을 출시했다고 ESG투데이가 27일(현지시각) 밝혔다.

런던에서 열린 IFRS 재단의 첫 번째 ‘이행 파트너 워크숍(Implementation Partners Workshop)’에서 공개된 이 로드맵 툴은 각국 정부 및 이행 파트너들에게 규제 채택 과정의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S1과 S2 공개 후 2년만...채택 관할권 확대 기대

ISSB는 2021년 COP26 기후회의에서 공식 출범했으며, 투자자에게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기회와 리스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후 2023년 6월, 일반 지속가능성 기준(IFRS S1)과 기후 공시 기준(IFRS S2)을 발표한 바 있으며, 현재까지 35개 이상의 관할권이 이 기준의 도입을 위한 절차를 시작한 상태다.

이번에 출시한 로드맵 툴은 23년에 공시 기준과 함께 발표한 초기 관할권 가이드(Inaugural Jurisdictional Guide)를 한 차례 더 발전시킨 실행도구로서, S1과 S2 공시 기준을 더욱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게 편의를 높이는 매뉴얼이다. 해당 도구는 각국이 S1과 S2 기준을 자국 회계 시스템에 어떻게 연계할지, 적용 대상을 어느 범위까지 지정할지를 판단하는 실무적 기준점을 제공한다.

ISSB 의장 엠마누엘 파베르(Emmanuel Faber)는 “자본시장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지원하겠다는 ISSB의 목표에 따라, 우리는 각국이 채택 로드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협력기관 및 이해관계자 활용도 확대...국제적 기준 정립되나

이번 툴은 ▲규제 절차- ISSB 기준을 어떤 방식으로 채택 또는 활용할지 결정 ▲적용 대상- 보고 요건을 적용할 기업이나 기관 선정 ▲공시 요건- 요구되는 지속가능성 관련 공시 항목의 범위 ▲이행 일정- 기준 적용 시기와 단계적 도입 여부 판단 등 4가지 주요 의사결정 영역에 중점을 둔다.

IFRS 재단은 이와 함께, 초기 관할권 가이드에 설명된 다양한 도입 사례를 반영한 템플릿도 공개했다.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은 각국의 도입 결정이 어떻게 이해될 수 있으며, IFRS 재단이 이를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참고할 수 있다. 가령 금융감독원, 회계기준원 등 국가별 기준 설정 기관이나, 민간의 ESG 공시 자문사들이 이 툴을 활용해 자국의 단계별 공시 채택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파베르 의장은 “이 툴은 관할권별 채택 논의를 지원하는 이행 파트너들에게도 핵심 자원이 될 것이고, 각국 당국 및 파트너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이 도구가 가져올 장기적인 영향력을 지켜보고 싶다”며 기대감을 보였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