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보도자료) Z세대의 ESG경영과 소비트렌드 인식조사
페이지 정보

본문
Z세대 ‘10명 중 6명’, 착한기업·ESG 제품에는 비싸도 지갑 연다
- 商議, 청년 350명 설문... 짠테크 해도 가치소비 우선, ‘비싸도 ESG·친환경 제품구매 ’(66.9%)
- E (과도한 플라스틱 사용, 37.9%), S (포용성 부족한 조직문화, 43.7%) 등 분야별 개선과제 제시
- 생활 속 친환경 실천... 업사이클링 패션 (32.0%), 비건제품 (25.1%), 리필스테이션 (22.2%) 順
우리 경제와 사회 속 ESG 확산에 따라 최근 개인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이른바‘미닝아웃 (Meaning Out, 가치소비)’이 Z세대*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Z세대 : 1997~2012년 출생한 디지털 환경에서 성장한 첫 세대로서 스마트폰과 인터넷 등 디지털 기기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며, 개인주의와 다양성 존중을 중시하는 세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미래세대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ESG 경영과 소비 트렌드 인식 조사’결과 Z세대는 기업의 ESG 활동에 따라 구매를 결정하거나 중단하는 등 가치소비를 통해 자신의 신념을 적극 표현하며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Z세대 60% 이상 ‘ESG’ 따라 미닝아웃-보이콧 동시에... 짠테크 속 빛나는 ‘가치소비’,
먼저 Z세대는 ‘조금 비싸더라도 ESG를 실천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매 하겠다’는 응답이 66.9%에 달해, 기업의 ESG 실천이 브랜드 선택과 제품구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물의가 있거나 문제가 있는 기업 제품은 ‘보이콧’하는 단호한 모습을 보였는데 ‘기업의 비윤리적 행위나 ESG 관련 부정적 이슈로 구매를 중단한 경험이 있다’(63.7%)는 구체적인 행동으로까지 이어졌다.
이러한 배경에는 Z세대만의 소비 가치관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청년세대가 선택한 소비 키워드는 절약을 중시하는‘짠테크’(32.9%)에 이어 자신의 신념을 소비로 증명하는‘미닝아웃’(26.5%), ‘아보하*’(23.3%) 등이었다.
*아보하 : “아주 보통의 하루”, 평범한 일상 속에서 소소한 만족 과 행복을 찾는 라이프스타일 및 소비
‘진정성’ 없는 ESG엔 지갑 닫는 Z세대… ‘그린워싱’ 은 청년 소비자 외면 받을 수 있어
청년들은 기업 ESG 활동의 진정성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특히‘그린워싱’문제에 대해 응답자의 65.4%가 우려를 나타냈다. ESG 활동을‘진정성’없이 단순 홍보수단으로 이용하는 기업은 청년 소비자의 외면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청년들은 기업의 ESG ‘진정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기업의 실질적인 변화에 주목했다. ESG 분야별 시급한 개선이슈로는 ‘과도한 플라스틱 사용’, ‘포용성 부족한 조직문화’,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부족’을 꼽았다.
첨부파일
-
8월_6일자_석간Z세대_ESG_소비트렌드.pdf (157.0K)
0회 다운로드 | DATE : 2025-08-19 14:03:58
- 다음글RE100 산단 띄우는 李정부, 아시아 국가의 ‘에너지 대전환’ 정책은? 25.08.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